"Whatever you explore, it will lead you to your own path."

"당신이 탐구하는 모든 것이 결국 당신만의 길로 이끌 것이다."

반응형

덱스터 3

[영영] 원데이(2020) - 3 사랑의 진정한 의미

영화는 이제 해피엔딩일 것 같았는데 마지막에 최고의 반전을 선사한다. 오랫동안 진실된 사랑을 그려온 엠마와 가벼운 만남만을 추구하다 비로소 진심을 이해하게 된 덱스터. 그들은 아이를 가지려고 노력했고 그것이 쉽지 않아 갈등이 생긴 것 외에는 완벽해 보았다. '사랑하는 사람의 아이를 갖고 싶어'라고 말하는 엠마와 그것이 약간은 부담스럽던 덱스터였지만 그들은 '노력'하기로 했다. 그런데 왜 그들은 아이를 갖지 못했고, 긴 기다림 끝의 짧은 사랑을 끝으로 비극적인 결말을 맞게 되었을까? 영화 '원데이'는 마지막까지도 단순한 사랑이야기로 끝을 내고 싶어하지 않는 것 같다. 사랑에 대한 두 사람의 다른 생각과 두려움을 통해 인연을 엮어내더니, 사랑의 완성은 결혼이 아니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걸까? 사랑의 완성..

[영영] 원데이(2020) - 2 성장과 몰락 그리고...

그리고 시간은 서로를 외면한 채 흐른다. 엠마는 현실에 타협하기로 마음을 먹고 사랑하지 않는 코미디언과 동거한다. 그러는 동안 화려한 삶에 중독된 덱스터는 신문에 '저질 방송왕'으로 이름을 올릴만큼 유명해진다. 점점 더 극단으로 치닫는 둘은 이제 완전히 접점이 존재하지 않아보인다. 그들은 영원히 서로를 잊고 자신의 '현실적인 삶'을 살아가는게 아마도, 평범하게 살기를 선택한 사람들의 해피엔딩일지도 모르겠다. 한 때의 치기어린 풋사랑과 애매한 우정은 그렇게 막을 내리는 듯 보인다.  아래 두 장면은 극단적으로 대비되면서 그들의 삶이 얼마나 다른지를 보여준다. 덱스터의 화려하고도 저질스러운 쇼와 엠마의 소박하기 짝이 없는 학생들의 연극. 그들의 차림새도 등장인물도 관객도 모두가 서로 마주칠 일이 없는 사람들..

[영영] 원데이(2020) - 1 서로를 자극하는 관계

누군가를 아주 오랫동안 좋아하는 일은 무엇을 의미할까? 이 질문을 생각해보게 만드는 영화, 원데이는 새벽의 파르스름한 공기를 느끼게 하는 첫장면부터 인상적이다. 술에 취한 대학졸업식. 휘청거리는 청춘들. 그곳에서 타오르는 욕망의 씨앗들. 얼굴이 새파랗게 보이는 어둑어둑한 골목에서 서로를 보았을 때, 그들의 세계는 너무나도 달랐다.  엠마는 소심하고 수줍은 문학소녀이고 덱스터는 자유분방한 바람둥이다. 정반대의 삶을 살아왔기에, 어쩌면 그들이 서로에 대해 품은 강렬한 호기심은 오랫동안 이어지지 않았을까 싶다. 곧 서로에게 내가 갖지 못한 것을 줄 수 있다는 의미가 되기도 하기에. 이 영화는 로맨스 영화이지만 성장영화이기도 하다. 서로가 서로를 어떻게 성장시킬 것인가? 세상에 이제 발을 내딛은 청춘이 다른 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