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ever you explore, it will lead you to your own path."

"당신이 탐구하는 모든 것이 결국 당신만의 길로 이끌 것이다."

반응형

MBTI와 사랑의 언어 4

직관형의 탄생

상상해보자. 어린 시절에 직관이 매우 강한 한 아이가 태어났다. 직관으로 세상을 인식하고 '인상'으로 사람들을 기억한다. 그런데 세상 밖으로 자신을 표현하려던 아이의 시도가 여러번 좌절되기 시작한다. '나는 세계여행을 할거야' '나는 창업가가 될거야''나는 정의의 사도가 될거야'같은 이야기를 던졌을 때 부모는 말한다. '넌 여자라서 안되''넌 남자라서 안되''그런건 옳은 방향이 아니야'아이는 저항하기도 하고 여러번 시도하기도 하지만, 내면에 무의식적으로 저장된 신념에 의해서 결국 부모의 말은 현실이 된다. 그것은 그 아이에게 하나의 영상이자 이미지가 되어서 무의식에 저장된다. 그리곤 평생에 걸쳐서 그 체험을 반복하게 만든다.  자, 좋다. 무의식 이야기를 하려던게 아니니까. 어찌저찌해서 그 아이는 밖으로..

MBTI의 기본 개념 1

#해외 자료를 번역하여 올립니다. 문법이나 문장이 어색하더라도 이해해주세요. MBTI의 기본 4가지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마인드: 내향 vs 외향 Introverted(I) vs Extraverted(E) 어떤 사람들은 표현력이 풍부하고 외향적인 반면, 다른 사람들은 혼자서 조용하며 편안하게 여깁니다. 외향인 그룹은 외부세계에서 사람들과 함께 재충전하는 것이 매력적으로 느껴지고, 내향인 그룹은 혼자서 시간을 보내고 내면 세계와 연결되는 동안 에너지를 충전합니다. 내향적인 사람들은 많은 외부자극을 찾거나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예상대로 내향인들은 외향인들보다 적은 커뮤니케이션을 필요로 합니다. 그것은 취미활동, 정치적 견해, 먹거나 마시는 등의 행위에도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서 내향인들은..

MBTI유형은 바뀔까? (유형 찾기 꿀팁)

답은 둘 다이다. 이에 답하기 위해 개인적인 이야기를 사례로 들어보겠다. 이 주제는 내가 MBTI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2010년즈음부터, 그러니까 약 10년동안 오랫동안 의문을 가져온 내용이다. 주위 사람들에게 물었을 때의 대답은 제각각이고 전문가들도 대부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스스로 이 답을 구해보기 위해 나는 여러번 정식검사를 해봤다. Form G, Form K까지. 제일 처음에 검사했을 때는 대학 1학년때였는데 ISTJ가 나왔다. 이후 몇 년 후에 다시 검사했을 때는 INTJ가 나왔다. 나는 그 당시 이 유형으로 확신하고 거의 10년가까운 세월을 보냈다. 그리고 다시 검사했을 때 INFJ가 나왔고, 지금은 이 유형이 확정이라고 본다. (마지막 검사한 이후로는 정식검사를 한 적은 없다. 요..

4차와 8차 기능의 차이

4차 기능은 열등 기능이다. 8차 기능은 그림자 기능 안에서도 가장 열등한 기능이다. 거의 다루지 못한다고 보면 된다. 누군가는 이에 대해 고자 기능이라고 말했다. 많은 MBTI분석에서 1, 2차에 집중하고 있지만 인간이 성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은 자신에게 누락된 부분, 자신을 계속 끌어내리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그 핵심은 바로 4차와 8차에 있다고 본다. 이를 통해 자신이 무엇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고 있고 실수하는지, 갇혀 있는지 알 수 있다. 희한하게도 살면서 받아들이는 면에 있어서는 더 불편한 것은 4차 기능이고 오히려 내가 잘 안다고 착각하는 부분이 8차 기능인 것 같다. 그것이 왜 그런지 주위 사람들을 살펴보면서 알게 되었는데, 일상생활에서 4차 기능은 아예 외면하고 불편해..

반응형